본문 바로가기

아기 마스크 착용, 언제부터 가능할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가이드

뽀뽀 아빠 2024. 12. 7.

목차


    아기 마스크 착용

     

    안녕하세요! 저는 1살 된 딸을 키우고 있는 아빠입니다. 최근 외출할 때마다 아이에게 마스크를 씌워야 할지 고민이 많더라고요. 코로나19 이후로 방역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특히 아기와 함께 있을 때는 더욱 신경이 쓰이는데요. 제가 찾아보고 공부한 내용을 여러분과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1. 아기 마스크, 언제부터 착용 가능할까?

    아기 마스크 착용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세 이전에는 아기에게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저도 처음엔 "1살인데, 마스크를 써야 하지 않을까?" 고민했었는데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국내 방역당국에서는 2세 미만의 아기는 호흡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어 마스크 착용을 피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아기들은 성인처럼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기도 어렵고, 자칫하면 숨쉬기가 힘들어질 수 있거든요.


    2. 각 국가 전문가들의 권고사항

    아기 마스크 착용

     

    제가 검색해보고 확인한 각국의 권고사항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CDC에서는 2세 이상 아이에게만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그 이하 연령은 착용하지 말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한국: 질병관리청도 생후 24개월 미만의 아기에게는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개인 위생에 더 신경 쓰라고 조언합니다.
    • 일본: 2세 이상의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지만, 어린아이의 경우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2세 미만의 아기는 마스크를 씌우기보다는 다른 방법으로 보호하라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3. 돌 전 아기, 마스크 착용 대신 어떻게 할까?

    아기 마스크 착용

     

    1살 된 딸아이가 코로나19뿐 아니라 감기나 미세먼지에 노출될까 봐 걱정되더라고요. 그렇다고 마스크를 씌우기엔 호흡 문제가 염려되니, 아래 방법들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1. 유모차 커버 활용: 외출 시 유모차에 투명 가림막을 씌워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합니다.
    2. 외출 시간 제한: 사람들이 많은 시간대를 피하고, 외출 시간도 짧게 유지합니다.
    3. 손 씻기 생활화: 아기 손을 자주 씻기고, 부모인 저도 철저히 손을 씻어 접촉 감염을 막고 있어요.

    이렇게 하니 안심이 되더라고요. 마스크를 못 쓰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충분히 아기를 보호할 수 있답니다.


    4. 2세 이후에는 마스크를 어떻게 고를까?

    아기 마스크 착용

     

    지금 당장은 1살이라 걱정이 덜하지만, 2살이 되면 마스크를 써야 할 날이 오겠죠. 미리 공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1. 소재: 부드럽고 자극이 없는 면 소재가 좋습니다.
    2. 크기: 아이 얼굴에 딱 맞는 사이즈를 고르세요. 너무 크면 밀착이 안 되고, 너무 작으면 답답할 수 있어요.
    3. 숨쉬기 편안함: 필터가 지나치게 두꺼운 제품은 피하세요.
    4. 인증 마크: KC 인증 등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세요.

    5. 아빠의 한마디

    1살 된 딸아이가 아무 걱정 없이 뛰어놀 수 있는 세상이 빨리 오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요즘 백일해가 유행이라는 소식을 접하고 나니 걱정이 더 커졌습니다. 호흡기 질환인 백일해는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위험할 수 있어, 마스크 착용에 더욱 신경이 쓰이더라고요.

     

    그전까지는 아기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무엇이 최선인지 고민하고, 실천해야겠죠.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아이를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지 다른 아빠나 엄마들과 함께 고민을 나누고 싶습니다.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댓글